본문 바로가기

CS/네트워크27

[네트워크] 네트워크 계층 2. 가상 회로 및 데이터그램 네트워크 1. 연결, 비연결성(Connection-less) 서비스데이터그램 네트워크는 네트워크 계층의 connection-less 서비스 제공한다.가상 회로 네트워크는 네트워크 계층 connection 서비스를 제공한다.TCP/UDP 연결 지향/connectionless 전송 계층 서비스와 유사하지만전송 계층에서는 양 끝단의 TCP 프로세스(sending TCP, Receiving TCP)가 협력해서 서비스를 제공한다.네트워크 계층에서는 네트워크 코어의 모든 라우터와 endsystem의 라우터 모두가 협력해서 네트워크 서비스를 구현한다. 전송 계층에서는 process-process 전송이고, 네트워크 계층에서는 host-host 전송이다. 전송계층에서는 사용자가 TCP를 사용할 지, UDP를 사용할 지 선택할.. 2025. 1. 16.
[네트워크] 네트워크 계층 1. 네트워크 계층 개요 1. 네트워크 계층1) 네트워크 계층의 목적네트워크 계층의 목적은 전송 계층의 세그먼트를 전송 호스트에서 수신 호스트에게 전송하는 것이다.전송측에서 전송 계층에서 받은 세그먼트를 데이터그램으로 캡슐화해서 전송한다.수신측에서는 세그먼트를 전송 계층으로 전달한다.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은 host와 라우터에는 이 기능이 모두 탑재된다.호스트의 네트워크 계층에서는 라우팅 기능이 강력하지 않다. 호스트는 게이트웨이 라우터 / first hope 라우터 에게 전달한다.라우터는 IP 데이터그램의 헤더 필드를보고 검사한다.(목적지를 확인해 어디로 라우트 해줘야하는지 결정한다.)  2) 네트워크 계층의 주요 기능 2포워딩 : 라우터의 input 폴더로 패킷이 들어왔을 때, dest로 보내기 위한 output 폴더로 보낸.. 2025. 1. 14.
[네트워크] 전송 계층 - TCP 혼잡 제어 1. TCP 혼잡 제어1) TCP 혼잡 제어: AIMD control (Additive increase multiplicative decrease 덧셈 증가 곱셈 감소)cwnd : Congestion WiNDow : 혼잡 윈도우 크기로 송신 측에 있는 윈도우 크기이다. 즉, 한 번에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 양이다.접근 방식: 송신자는 전송 속도(window 크기)를 증가시키고, 손실이 발생할 때까지 사용 가능한 대역폭을 탐색한다.추가 증가: 손실이 감지될 때까지 RTT마다 cwnd를 1 MSS씩 증가시킨다.곱셈 감소: 손실 후 cwnd를 절반으로 줄인다.-> loss가 발생하면 빨리 대응하기 위해 절반으로 줄이고, 이후 혼잡이 해결되었을 수 있으므로 서서히 증가시켜보는 것이다.  2) 혼잡 제어 상세Se.. 2025. 1. 12.
[네트워크] 전송 계층 - 혼잡 제어 원리 1. 혼잡 제어의 원리1) Congestion 혼잡 이란?: 네트워크가 처리하는 속도가 데이터를 내보내는 속도보다 느린 상태를 말한다.(흐름 제어는 sender, receiver의 속도 차이에 의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이다.)증상으로는 패킷 손상(라우터에서 버퍼 overflow), 긴 지연 시간(라우터 버퍼에서 queueing)가 있다. (1) 혼잡 비용 λin : 원본 데이터λ'in : 원본 데이터 + 재전송된 데이터 λout : goodput (특정 도착지로 네트워크가 전달하는 유용한 정보 비트의 수. 오버헤드 비트와 재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은 제외) λ'in가 증가할 수록 λout도 같이 증가한다.특정 구간을 지나면, λout이 급격하게 감소하는데,혼자이 증가해, delay가 길아져서 불필요한 전송이.. 2025. 1. 12.
[네트워크] 전송 계층 - TCP : 연결 관리 1. 연결 관리TCP는 연결 지향 프르토콜이므로 데이터 전송 전에 handshake를 한다. 1) 2-way handshake를 하지 않는 이유client가 서버에게 connection request를 보낸다.서버는 client에게 connection accept를 보낸다.데이터 전송이 끝나고 연결을 종료한다. (서버는 클라이언트와의 연결에 대해 저장하지 않는다.) 중간에  connection accept 메세지가 늦게 도착해서 client가 재요청을 보낸게 연결 종료 후 서버에 도착한다면, 서버는 새로운 connection request라고 생각하게된다. connection 재요청이 연결 종료 후 도착하고, 그 후에 데에터 요청까지 늦게 도착한다면, 서버는 response를하게되고, garbage da.. 2025. 1.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