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MEM2

[운영체제] 8. 연속 메모리 할당 1. 메모리 단편화 Memory Fragmentation(1) 메모리 단편화란?분할된 주기억장치에 프로그램을 할당하고 반납하는 과정을 반납하면서 사용되지 않고 남는 기억장치의 빈 공간 조각을 말한다.내부 단편화 : 분할된 영역이 할당될 프로그램의 크기보다 크기 때문에 프로그램이 할당된 후 사용되지 않고 남아있는 빈 공간외부 단편화 :  분할된 영역이 할당된 프로그램의 크기보다 작기 때문에 프로그램이 할당될 수 없어 사용되지 않고 빈 공간으로 남아 있는 불할된 전체 영역   2. 연속 메모리 할당(1) 연속 메모리 할당 방식First-fit (최초 적합) : 프로그램이나 데이터가 들어갈 수 있는 크기의 빈 영역 중에서 첫 번째 분할 영역에 배치Best-fit (최적 적합) : 프로그램이나 데이터가 들어갈 .. 2024. 12. 13.
[운영체제] 8. 프로그램을 메인 메모리에 올리기 (MMU) 1. MMU1) MMU란?Memory Management Unit CPU가 메모리에 접근하는 것을 관리하는 하드웨어 부품이다.  2) MMU 역할: 가상 메모리 주소를 실제 메모리 주소로 변환, 메모리 보호, 캐시 관리, 버스 중재 등 (1) 메모리 보호프로그램이 할당받은 메모리 영역 이상 사용하는지 감시한다. 만약 넘는 프로세스가 있다면 MMU가 CPU에게 신호 보내 알리고, CPU는 해당 프로세스 강제 종료시킨다.  (2) 가상 메모리 주소를 실제 메모리 주소로 변환 실행파일을 메모리 어디에 올릴지는 OS 메모리 관리 장치의 Loader가 결정한다.다증 프로그래밍 환경에서 메모리에 여럭지 프로그램이 올라와있는 경우, 실행 시마다 메모리의 올라갈 수 있는 위치 달라지므로 MMU의 재배치 레지스터 값을 .. 2024. 12. 13.